대구 프린스호텔 조식 제공 시간은 아침 7시부터 9시까지까지라 어제 남편에게 7시에 바로 조식 먹자며 지난번 서울에 갔을 때처럼 늦게 일어나지 말라고 했었는데 오늘은 내가 30분 늦게 일어났다.
7시 30분에 조식을 먹으러 내려가 창가 쪽 자리를 맡았다. 카메라를 테이블에 두고 갔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관광객이 우리 자리에 앉아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조식이 맛없다는 평가를 보긴 봤지만 밥과 국도 식었고 종류도 많지 않아 진짜 차라리 호텔 앞에 있는 24시간 해장국집에 가서 아침을 먹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식 패키지로 예약을 해 약간의 할인금액으로 구입을 해서 다행이지 정가인 인당 16,000원으로 조식권을 구입했으면 정말 돈이 아까울뻔 했다. 맛이 없긴 했지만 빵이며 아침은 나름 푸짐하게 먹었는데 진짜 서울에서 묵었던 카푸치노 호텔의 조식이 그리워지는 순간이었다. 프린스호텔은 오래되었지만 깔끔하고 1호선과 3호선이 다니는 명덕역에 위치해있어 위치도 굿인데다가 조식패키지나 서문시장에서 쓸 수 있는 2만원 어치 온누리상품권을 주는 등의 데이트패키지 등 다양한 패키지 상품으로 가성비가 좋은편인데 조식이 너무 아쉽다. 다음에 대구에 오면 숙박은 재구매 의사가 있지만 조식은 절대 신청하지 않을 듯 싶다.
체크아웃을 하고 바로 서문시장으로 향했다. 2지구에 주차를 하는게 좋다는 블로그 글을 보긴 봤었는데 네비게이션대로 가다보니 대구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서문시장 주차장에 주차를 할 수 있었다. 30분당 1천원에 추가비용은 10분당 500원이었는데 자리가 없어 계속 올라가 6층에 겨우 주차할 수 있었고 10분은 주차자리 찾는데 허비한 것 같다.
주차를 마치고 엘리베이터를 기다렸다. 사람이 많았는데 '가급적 시간도 절약되고 건강에도 도움되는 계단을 이용하시고 임산부나 노약자에게 양보해주세요.' 라는 문구가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단을 이용했고 나는 당당히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었다. 만삭이니 몸은 힘든데 이래저래 배려를 많이 받는 것 같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려와 원단을 파는 상점이 모여있는 2단지로 이동을 했다. 들어가기 전 씨앗호떡 1개를 사 남편과 나눠 먹었다. 어제 밤에 온 서문시장과 낮에 온 서문시장은 사뭇 분위기가 다른 것 같다. 좀 더 생동감이 넘치는 느낌이다. 음식물을 들고 상가에 들어갈 수 없어서 길가에서 호떡을 다 먹고는 2단지로 들어갔다. 바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원단이 모여있는 3~4층으로 갔다. 오늘의 목표는 딩턴이 목욕가운을 만들 타올지와 내복을 만들 오가닉천, 그리고 수면조끼를 만들 누빔지와 단추 등 부자재를 구입하는 것이다.
일단 딩턴이 수건용 6종거즈를 추천받았는데 부드럽고 도톰하니 좋다. 또 크기도 맞게 잘라져있어 테두리만 마감처리하면 되고 가격도 1만원으로 저렴했다. 백화점에서는 완제품을 4만원에 파는 제품이라고 하니 이익을 본 것 같다. 디자인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고 샤워가운을 만들긴 어렵겠지만 한 마도 넘는 크기라 속싸개 대용으로도 쓰기 좋을 것 같다. 속싸개 1개와 이중거즈로 이불을 1개 만들어뒀으니 이번 6종거즈로 테두리만 마감해 2개 만들면 속싸개류와 타올은 이제 더 만들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스와들업만 하나 구입할지 고민해봐야겠다.
우선 배가 너무 고픈 관계로 사문진에 도착하자마자 주막촌으로 들어가 소고기국밥과 손두부, 부추전을 시켰다. 시키고보니 주변에서 잔치국수도 많이 먹고 있어 그것도 먹고 싶었지만 이미 많이 시킨지라 참았다. 그런데 대구에 오니 확실히 물가가 많이 싼 것처럼 느껴진다. 사문진주막촌은 달성군청에서 운영하는 곳인데 국밥, 두부, 부추전에 막걸리까지 17,500원밖에 들지 않았다. 대구에 온 날부터 남편에게 계속 물가가 싼 것 같다고 말했는데 남편도 주막촌에서의 가격을 보고 드디어 내 말에 동의를 해주었다.
올라가다가 다시 한 번 다음 휴게소인 선산휴게소에 들렀다. 이러다가 고속도로 내 휴게소를 다 들릴 기세이다. 화장실을 다녀오는 동안 남편이 호두과자를 사두어 호두과자를 먹으며 출발했다. 한 입 베어 물었는데 남편이 갑자기 뜨거우니까 조심해라고 한다. 난 이미 먹었고 그 순간 팥이 떨어져 혓바닥을 데였다. 겉은 따뜻하니 전혀 뜨거운 기색이 없었는데 "진작 좀 말해주지." 라고 핀잔을 주니 말하려고 했는데 남편도 뜨거워서 말이 안나왔다고 했다. 결국 부부가 사이좋게 혀를 데였다. 다음부터 호두과자를 먹을 때 조심해야할 것 같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청남대 국화축제 때문인지 문의부터 차가 엄청 막혔다. 가뜩이나 장거리라 힘든데 차까지 막히니 짜증이 몰려온다. 집으로 돌아와서 짐을 정리하고 씻고 후배가 준 꽃을 내 꽃 수집 게시판에 걸어두고 책을 정리했다. 간식을 빵빵하게 먹어서 저녁은 후배가 준 빵으로 대체했는데 빵이 너무 맛있어서 블로그도 찾아보았다. 후배집 근처에 파네디파파라는 곳의 빵집인데 밀크 프랑스로 추정되는 안에 연유가 들은 빵이 진짜 맛있었다. 또 마카롱도 대박 사실 마카롱은 달기만하고 맛을 못느꼈는데 이렇게 맛있는 디저트인지 몰랐다. 밥돌이 남편도 반한 빵이었다. 집 근처에 있었으면 임신 기간동안 엄청 먹었을지도 모르겠다. 후배에게 다시 한 번 너무 고맙다.
7시 30분에 조식을 먹으러 내려가 창가 쪽 자리를 맡았다. 카메라를 테이블에 두고 갔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관광객이 우리 자리에 앉아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조식이 맛없다는 평가를 보긴 봤지만 밥과 국도 식었고 종류도 많지 않아 진짜 차라리 호텔 앞에 있는 24시간 해장국집에 가서 아침을 먹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식 패키지로 예약을 해 약간의 할인금액으로 구입을 해서 다행이지 정가인 인당 16,000원으로 조식권을 구입했으면 정말 돈이 아까울뻔 했다. 맛이 없긴 했지만 빵이며 아침은 나름 푸짐하게 먹었는데 진짜 서울에서 묵었던 카푸치노 호텔의 조식이 그리워지는 순간이었다. 프린스호텔은 오래되었지만 깔끔하고 1호선과 3호선이 다니는 명덕역에 위치해있어 위치도 굿인데다가 조식패키지나 서문시장에서 쓸 수 있는 2만원 어치 온누리상품권을 주는 등의 데이트패키지 등 다양한 패키지 상품으로 가성비가 좋은편인데 조식이 너무 아쉽다. 다음에 대구에 오면 숙박은 재구매 의사가 있지만 조식은 절대 신청하지 않을 듯 싶다.
체크아웃을 하고 바로 서문시장으로 향했다. 2지구에 주차를 하는게 좋다는 블로그 글을 보긴 봤었는데 네비게이션대로 가다보니 대구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서문시장 주차장에 주차를 할 수 있었다. 30분당 1천원에 추가비용은 10분당 500원이었는데 자리가 없어 계속 올라가 6층에 겨우 주차할 수 있었고 10분은 주차자리 찾는데 허비한 것 같다.
주차를 마치고 엘리베이터를 기다렸다. 사람이 많았는데 '가급적 시간도 절약되고 건강에도 도움되는 계단을 이용하시고 임산부나 노약자에게 양보해주세요.' 라는 문구가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단을 이용했고 나는 당당히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었다. 만삭이니 몸은 힘든데 이래저래 배려를 많이 받는 것 같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려와 원단을 파는 상점이 모여있는 2단지로 이동을 했다. 들어가기 전 씨앗호떡 1개를 사 남편과 나눠 먹었다. 어제 밤에 온 서문시장과 낮에 온 서문시장은 사뭇 분위기가 다른 것 같다. 좀 더 생동감이 넘치는 느낌이다. 음식물을 들고 상가에 들어갈 수 없어서 길가에서 호떡을 다 먹고는 2단지로 들어갔다. 바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원단이 모여있는 3~4층으로 갔다. 오늘의 목표는 딩턴이 목욕가운을 만들 타올지와 내복을 만들 오가닉천, 그리고 수면조끼를 만들 누빔지와 단추 등 부자재를 구입하는 것이다.
일단 딩턴이 수건용 6종거즈를 추천받았는데 부드럽고 도톰하니 좋다. 또 크기도 맞게 잘라져있어 테두리만 마감처리하면 되고 가격도 1만원으로 저렴했다. 백화점에서는 완제품을 4만원에 파는 제품이라고 하니 이익을 본 것 같다. 디자인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고 샤워가운을 만들긴 어렵겠지만 한 마도 넘는 크기라 속싸개 대용으로도 쓰기 좋을 것 같다. 속싸개 1개와 이중거즈로 이불을 1개 만들어뒀으니 이번 6종거즈로 테두리만 마감해 2개 만들면 속싸개류와 타올은 이제 더 만들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스와들업만 하나 구입할지 고민해봐야겠다.
우선 배가 너무 고픈 관계로 사문진에 도착하자마자 주막촌으로 들어가 소고기국밥과 손두부, 부추전을 시켰다. 시키고보니 주변에서 잔치국수도 많이 먹고 있어 그것도 먹고 싶었지만 이미 많이 시킨지라 참았다. 그런데 대구에 오니 확실히 물가가 많이 싼 것처럼 느껴진다. 사문진주막촌은 달성군청에서 운영하는 곳인데 국밥, 두부, 부추전에 막걸리까지 17,500원밖에 들지 않았다. 대구에 온 날부터 남편에게 계속 물가가 싼 것 같다고 말했는데 남편도 주막촌에서의 가격을 보고 드디어 내 말에 동의를 해주었다.
올라가다가 다시 한 번 다음 휴게소인 선산휴게소에 들렀다. 이러다가 고속도로 내 휴게소를 다 들릴 기세이다. 화장실을 다녀오는 동안 남편이 호두과자를 사두어 호두과자를 먹으며 출발했다. 한 입 베어 물었는데 남편이 갑자기 뜨거우니까 조심해라고 한다. 난 이미 먹었고 그 순간 팥이 떨어져 혓바닥을 데였다. 겉은 따뜻하니 전혀 뜨거운 기색이 없었는데 "진작 좀 말해주지." 라고 핀잔을 주니 말하려고 했는데 남편도 뜨거워서 말이 안나왔다고 했다. 결국 부부가 사이좋게 혀를 데였다. 다음부터 호두과자를 먹을 때 조심해야할 것 같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청남대 국화축제 때문인지 문의부터 차가 엄청 막혔다. 가뜩이나 장거리라 힘든데 차까지 막히니 짜증이 몰려온다. 집으로 돌아와서 짐을 정리하고 씻고 후배가 준 꽃을 내 꽃 수집 게시판에 걸어두고 책을 정리했다. 간식을 빵빵하게 먹어서 저녁은 후배가 준 빵으로 대체했는데 빵이 너무 맛있어서 블로그도 찾아보았다. 후배집 근처에 파네디파파라는 곳의 빵집인데 밀크 프랑스로 추정되는 안에 연유가 들은 빵이 진짜 맛있었다. 또 마카롱도 대박 사실 마카롱은 달기만하고 맛을 못느꼈는데 이렇게 맛있는 디저트인지 몰랐다. 밥돌이 남편도 반한 빵이었다. 집 근처에 있었으면 임신 기간동안 엄청 먹었을지도 모르겠다. 후배에게 다시 한 번 너무 고맙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2일차] 2018.10.22 (0) | 2018.10.22 |
---|---|
[181일차] 2018.10.21 (0) | 2018.10.22 |
[179일차] 2018.10.19 (0) | 2018.10.20 |
[178일차] 2018.10.18 (0) | 2018.10.18 |
[177일차] 2018.10.17 (0) | 2018.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