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3일차 아침이다. 남편은 운동을 하러 TLX로 구입한 패스로 근처 헬스장에 가고 나는 1시간 정도 더 자고 일어났다. 남편이 나갈 때 먹을 것을 사온다고 했는데 빈손으로 들어와서 어제처럼 단백질쉐이크와 두유를 먹었다. 나는 여기에 철분제와 앱솔맘 오렌지쥬스와 유산균까지 먹으니 배가 터질 것 같았다. 아침을 챙겨 먹고 씻고 나와서 오늘에 첫번째 목적지인 북촌 한옥마을에 가기 위해 안국역으로 갔다.
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반팔도 아닌 긴팔 한복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들을 보니 나까지 숨이 막힌다. 오늘은 어제보다 더 더운 38~39도이다. 한마디로 쓰러질 것 같은 날씨였다. 한옥마을을 쭉 돌 자신도 없고 입구 정도만 둘러보다가 그나마 실내인 서울교육박물관에 가기로 했다. 박물관까지 가는 길에도 탈진할 것 같아 편의점에 들러 물을 구입했다.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서울교육박물관은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교육과 관련된 역사들이 잘 정리되어있었다. 과거 교과서들도 보존되어있었는데 옆에 모니터를 클릭하면 PDF로 복원 되어 있는 교과서 내용도 볼 수 있었다. 또 교복의 변천사라던가 옛날 교실의 모습, 학교 뱃지 등도 수집되어 있었다. 특히 옛날 교실을 보니 나랑 남편도 추억에 잠기게 되었다. 물론 우리 세대는 그 정도의 교실 수준은 아니었지만 교실의 분위기나 그 시절과 별로 다를 바 없는 시간표 등을 보니 더 초등학교 시절이 떠올랐다. 아빠 세대가 와서 관람하면 좀 더 깊은 추억의 시절이 떠오르지 않을까 싶다.
관람을 마치고 나왔는데 너무 더워서 그늘에서 쉬다가 남편이 먹고 싶다던 풍년쌀농산 떡볶이를 먹으러 갔는데 매주 화요일은 정기휴일이라고 적힌 문구와 함께 문이 닫혀 있었다. 더이상 갈 수 없을만큼 힘들고 배가 너무 땡겼다. 폭염에 조산위험이 높아질까 걱정이 되었다. 점심을 먹으러 가야되는데 걷기가 힘들었다. 일단 북촌 한옥마을에서 벗어나 안국역쪽으로 향했다. 지난 6월에 인사동에 왔을 때 오설록 건물을 보고 작년 제주도 오설록에서 먹었던 녹차아이스크림을 먹고 싶다고 했던 것을 기억한 남편이 오설록까지만 가서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쉬자고 제안해 오설록까지 이를 악물고 버텼다.
드디어 힘들게 도착했는데 앞 손님이 증정품 관련으로 주문이 끝나지 않아 우선 나만 2층으로 올라가 자리를 잡았다. 남편이 주문을 하고 올라왔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녹차아이스크림도 나왔다. 같이 녹차 시럽도 나왔는데 시럽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뿌릴수록 단맛이 줄어들고 녹차의 씁쓸한 맛이 강해져서 내 입에는 더 좋았다.
30분 정도 앉아 있다가 처마끝하늘풍경에 가서 전복 A코스 한정식을 먹었다. 주변에 다른 한정식 집도 많이 있었지만 식샤3에서 전복 먹방을 보기도 했고 전복이 임산부에게 좋은 단백질과 무기질이 풍부해서 선택한 메뉴이다. 코스다 보니 음식이 하나하나 나왔는데 식탐은 자제가 되지 않는지라 풀버전의 사진은 찍을 수 없었다. 전복 A코스는 전복회 + 전복구이 + 전복돌솥밥 + 불고기 + 잡채, 미역국, 북어국, 김치전, 기타 밑반찬류가 나오고 가격은 인당 35,000원 정도이다. 어머님께서 휴가가서 맛있는거 사먹으라고 주신 용돈이 있어 걱정없이 먹었다. 이제 6개월차라 제법 임산부처럼 보이는지 종업원분께서 "임산부는 회보단 구이 쪽을 더 나으실거에요." 라고 말씀해주셨다. 임산부 대접 받은 건 처음이라 잘못 들은지 알고 남편에게 물었더니 남편도 똑같이 들었다고 한다. 우리 딩턴이가 그간 무럭무럭 자라줘서 기특하고 고맙다. 음식은 깔끔하니 맛있었고 후식으로 냉침한 복분자차를 마시니 달달하니 크렌베리 쥬스와 비슷한 맛이 났다.
서울에 오기 전부터 왓썹맨에서 봤던 홍대 조폭떡볶이를 남편이 꼭 먹고 싶다고 했기 때문에 홍대로 향했다. 홍대는 우리 숙소에서 환승 없이 갈 수 있어서 더 좋았다. 드디어 조폭떡볶이를 접하게 되었는데 방송에서는 엄청 맵다고 나왔는데 하나도 맵지 않았고 맛이 특별하지도 않았다. 맵달 떡볶이를 원했는데 그냥 평범한 떡볶이 맛이다. 남편이 근처 마늘떡볶이도 먹어보자고 했는데 거기는 줄이 많아 포기했다. 줄이 많은걸 보니 맛집일 것 같은데 먹지 못해서 아쉽다.
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반팔도 아닌 긴팔 한복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들을 보니 나까지 숨이 막힌다. 오늘은 어제보다 더 더운 38~39도이다. 한마디로 쓰러질 것 같은 날씨였다. 한옥마을을 쭉 돌 자신도 없고 입구 정도만 둘러보다가 그나마 실내인 서울교육박물관에 가기로 했다. 박물관까지 가는 길에도 탈진할 것 같아 편의점에 들러 물을 구입했다.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서울교육박물관은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교육과 관련된 역사들이 잘 정리되어있었다. 과거 교과서들도 보존되어있었는데 옆에 모니터를 클릭하면 PDF로 복원 되어 있는 교과서 내용도 볼 수 있었다. 또 교복의 변천사라던가 옛날 교실의 모습, 학교 뱃지 등도 수집되어 있었다. 특히 옛날 교실을 보니 나랑 남편도 추억에 잠기게 되었다. 물론 우리 세대는 그 정도의 교실 수준은 아니었지만 교실의 분위기나 그 시절과 별로 다를 바 없는 시간표 등을 보니 더 초등학교 시절이 떠올랐다. 아빠 세대가 와서 관람하면 좀 더 깊은 추억의 시절이 떠오르지 않을까 싶다.
관람을 마치고 나왔는데 너무 더워서 그늘에서 쉬다가 남편이 먹고 싶다던 풍년쌀농산 떡볶이를 먹으러 갔는데 매주 화요일은 정기휴일이라고 적힌 문구와 함께 문이 닫혀 있었다. 더이상 갈 수 없을만큼 힘들고 배가 너무 땡겼다. 폭염에 조산위험이 높아질까 걱정이 되었다. 점심을 먹으러 가야되는데 걷기가 힘들었다. 일단 북촌 한옥마을에서 벗어나 안국역쪽으로 향했다. 지난 6월에 인사동에 왔을 때 오설록 건물을 보고 작년 제주도 오설록에서 먹었던 녹차아이스크림을 먹고 싶다고 했던 것을 기억한 남편이 오설록까지만 가서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쉬자고 제안해 오설록까지 이를 악물고 버텼다.
드디어 힘들게 도착했는데 앞 손님이 증정품 관련으로 주문이 끝나지 않아 우선 나만 2층으로 올라가 자리를 잡았다. 남편이 주문을 하고 올라왔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녹차아이스크림도 나왔다. 같이 녹차 시럽도 나왔는데 시럽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뿌릴수록 단맛이 줄어들고 녹차의 씁쓸한 맛이 강해져서 내 입에는 더 좋았다.
30분 정도 앉아 있다가 처마끝하늘풍경에 가서 전복 A코스 한정식을 먹었다. 주변에 다른 한정식 집도 많이 있었지만 식샤3에서 전복 먹방을 보기도 했고 전복이 임산부에게 좋은 단백질과 무기질이 풍부해서 선택한 메뉴이다. 코스다 보니 음식이 하나하나 나왔는데 식탐은 자제가 되지 않는지라 풀버전의 사진은 찍을 수 없었다. 전복 A코스는 전복회 + 전복구이 + 전복돌솥밥 + 불고기 + 잡채, 미역국, 북어국, 김치전, 기타 밑반찬류가 나오고 가격은 인당 35,000원 정도이다. 어머님께서 휴가가서 맛있는거 사먹으라고 주신 용돈이 있어 걱정없이 먹었다. 이제 6개월차라 제법 임산부처럼 보이는지 종업원분께서 "임산부는 회보단 구이 쪽을 더 나으실거에요." 라고 말씀해주셨다. 임산부 대접 받은 건 처음이라 잘못 들은지 알고 남편에게 물었더니 남편도 똑같이 들었다고 한다. 우리 딩턴이가 그간 무럭무럭 자라줘서 기특하고 고맙다. 음식은 깔끔하니 맛있었고 후식으로 냉침한 복분자차를 마시니 달달하니 크렌베리 쥬스와 비슷한 맛이 났다.
서울에 오기 전부터 왓썹맨에서 봤던 홍대 조폭떡볶이를 남편이 꼭 먹고 싶다고 했기 때문에 홍대로 향했다. 홍대는 우리 숙소에서 환승 없이 갈 수 있어서 더 좋았다. 드디어 조폭떡볶이를 접하게 되었는데 방송에서는 엄청 맵다고 나왔는데 하나도 맵지 않았고 맛이 특별하지도 않았다. 맵달 떡볶이를 원했는데 그냥 평범한 떡볶이 맛이다. 남편이 근처 마늘떡볶이도 먹어보자고 했는데 거기는 줄이 많아 포기했다. 줄이 많은걸 보니 맛집일 것 같은데 먹지 못해서 아쉽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일차] 2018.08.02 (0) | 2018.08.02 |
---|---|
[100일차] 2018.08.01 (0) | 2018.08.01 |
[98일차] 2018.07.30 (2) | 2018.07.30 |
[97일차] 2018.07.29 (2) | 2018.07.29 |
[96일차] 2018.07.28 (2) | 2018.07.29 |